안녕하세요. 우리의 급여에서 먼저 원천징수가 되어지는 부분중에서 가장큰 비중을 차지하는 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연봉이 올라감에 따라서 이 금액역시 늘어나게 되어지는데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궁금하실겁니다.
오늘은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을 쉽게 해보는 방법에 대해서 안내를 해드려보도록 할게요. 어렵지 않게 자동 계산기를 이용해보시면 쉽고 편리하게 게산을 해볼수가 있습니다. 자 그럼 먼저 보험료율 부터 살펴볼게요.
위에 보이시는것은 최근 보험료율에 대한 부분인데요. 2016년도와 동일하게 6.12% 그리고 장기요양보험료 6.55%를 유지하고있습니다. 동결되어진것은 거의 처음인듯한데요. 자 그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위에 보이시는것처럼 먼저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을 해보시려면 '국민연금'사이트로 접속을 해보셔야합니다. 이사이트에서 무료로 계산을 해볼수가 있도록 계산기를 제공하고있거든요. 쉽게 이동해볼까요.
바로 이동을 하실분들은 여기를 눌러주시면 바로 국민연금 사이트로 이동을 하실수가 있으실겁니다. 이동을 하시게 되었다면 이제 계산기 메뉴로 들어가야하겠죠.
국민연금 홈페이지에서 가장 하단으로 내려보세요. 그러면 위에 보이시는것처럼 <4대보험 계산기>라는 항목이 가장 하단에 있을겁니다. 이 메뉴를 눌러주시게 되면 바로 계산기가 실행이 되어지게 됩니다.
4대 보험에 대한 계산기가 나오게 되어져요. 상단에 보시면 그래서 4가지의 계산기가 있죠. 이중에서 오늘은 국민건강보험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건데요. 그러니 상단의 탭중에서 <국민건강보험계산>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이제 자신의 급여 정보를 입력을 해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입력을 해주시게 되면 직장 건강보험료 계산 결과가 나오게 되어져요. 상세하게 건강보험요, 장기요양보험료 모두 계산기 되어져 나오며, 직장인이 부담해야하는 부분만 따로 나오게 되어집니다. 안내 참고하셔보세요.
댓글